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투자학개론3

투자학 개론 1. 투자는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당신에게 두 가지의 선택지가 있다면 무엇을 선택하겠는가 1. 300만원의 월급 2. 200만원의 월급과 매년 10% 금리 이 질문에 투자에 대한 모든 것이 담겨있다고 생각한다. 질문에 대한 답을 이야기하기 전 투자의 본질적인 이야기에 대해 잠시 다루어 보자. 투자의 정의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흔히들 투자는 '리스크를 감수하고 자본을 불리는 행위'라고 이야기한다. 정답처럼 보이지만 여기에는 아주 중요한 것이 빠져있다. 저것이 투자의 정의라면 투기와 다를 것이 없다. 투기 또한 리스크를 가지며 자본을 불리는 행위를 뜻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투자와 투기를 구분 짓는 가장 중요한 핵심은 행위를 함에 있어 기여하는 시간과 노력의 여부이다. 즉 투자활동에 있어 시간을 할애하지 않고 아무런 노력을 하지 않는다면 .. 2021. 4. 28.
천리길도 한걸음 부터 - 증권계좌 개설하기 최근 주식에 대한 관심이 매우 뜨겁습니다. 왠지 주식을 하지 않으면 손해를 보는 기분을 느끼기도 합니다. 그래서 '나도 한번 주식을 시작해 볼까...' 하시고 증권계좌를 알아보는 첫 단계부터 난관에 봉착 할 수 있습니다. 너무도 많은 증권사와 거래수수료 혜택, 해외주식 혜택 등등 감이 안잡히는 이벤트성 홍보글들에 시작부터 머리가 아파오곤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증권사를 골라야 하고, 어떻게 계좌를 개설해야 할지 알아보겠습니다. 1. 수수료 비교 우선 주식을 거래하는데 있어 발생하는 비용에는 2가지가 있습니다 1) 세금 2) 거래 수수료 -세금 세금은 모든 증권사가 동일한 금액이 발생합니다. 총 매도금액을 기준으로 0.25% 입니다. 아주 단순하게 예시를 들며 설명드리자면, A라는 회사의 주가가 1.. 2021. 4. 7.
EBS 자본주의 와 KBS 돈의힘에 대한 정리 두가지 다큐의 전개를 간단하게 정리해보면 자본주의는 조금 가벼운 여러 주제들과 인문철학적인 관점들로 경제사를 바라보며 자본주의의 성장과정과 의미를 풀어나가고 돈의 힘은 경제사의 색을 강하게 가져가며 금융의 역사에 대하여 설명을 하며 내용이 전개됩니다. 개인적으로 자본주의가 더 흥미롭고 재미있게 봤던것 같습니다. 돈의 힘은 경제사에 치중이되어서 그런지 조금 딱딱하고 어렵게 느껴졌습니다.(그리고 더빙의 탓도 큰거같습니다..) 자본주의에서는 돈에대한 정의를 시작으로 시장에서 돈이 의미하는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됩니다. 그전에 저는 로버트 기요사키의 에 나온 내용중 "돈은 환상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돈이 진짜라고 믿는 수많은 사람들은 두려움과 욕심에 젖어 돈의 환상을 쫓는다" 라는 구문을 명확히 .. 2020. 4.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