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카카오2 대기업과 독점 0-1. 2021년 국정감사와 동네북들 2021년의 국정감사에서도 국회는 여느 때와 다르지 않게 기업들을 불러세워다 혼쭐을 내주었다. 카카오의 김범수는 연신 사과를 거듭하며 "앞으로 이런 논란이 있을 사업에는 절대로 진출하지 않겠다"라는 말을 했다. 그 외에도 야놀자 대표 등등 역시 불려와 무소불위의 국회의원들 앞에서 머리를 조아릴 수밖에 없었다. 모르긴 몰라도 이번 국정감사를 통해 신흥 기업들은 '아, 기업하기 어렵다'하고 비로소 깨달았을 것이다. 기존의 재벌 대기업들이 국가 권력 앞에 무릎을 꿇던 것이 남의 일이 아니라는 걸 체감했음이 분명하다. 또 이런 생각을 하지 않았을까 싶다. '그런데, 내가 뭘 잘못했지?' 기업, 멍청하고 불쌍한 동네북 금융지주회사로 분류되는 김범수 의장의 케이큐브홀딩스가 카카오를 지배하고 있다는 사실이 의원들의 .. 2021. 10. 16. 왜 카카오뱅크만 예외일까? : 인터넷전문은행과 금산분리에 대한 고찰 0. 한국의 재벌이 문어발이 된 이유 미발달된 금융시장으로 인한 문제의 중첩과 닉슨 대통령이 금태환 정지를 선언하는 등으로 인해 대내외적 경제위기가 발생하면서, 1972년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7.2%로 69년의 경제성장률인 14.5%의 절반 이하로 추락했다. 즉, 대내외적 경제위기가 발생하면서 경제가 위축된 것이다. 기업들은 사채를 끌어다 썼고, 부채의 늪에 빠져 도산 위기에 처했다. 박정희 대통령은 문제해결을 위해 72년 8월 3일 자정이 되기 직전에 8·3조치를 발표한다. 8·3조치는 300만 원 이상의 사채를 동결하고, 돈을 돌려받고 싶으면 채권자들이 빌려준 돈의 출처를 밝혀야 한다는 내용이 골자였다. 정치권의 검은 돈이나 위장사채(자기 기업에 스스로 사채놀이를 해 기업은 적자, 기업가는 이득을 보.. 2021. 10. 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