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칼럼(Column)/경제10

사랑의 심리학, 결혼의 경제학 3 문화적 간극과 한국의 가족우리는 한국이 '압축성장'이라고 할 정도로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경제성장과 정치제도의 선진화를 이뤄왔다는 점을 주지해야 한다. 세계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보편적으로 이 정도의 성장은 대략 2~300년을 거쳐 진행되는데, 한국은 고작 70년 조금 넘는 기간 동안 해낸 것이다. 그런 만큼 구세대와 신세대 간 가치관·세계관·지식 및 기술은 판이하게 다르다. 제대로 닦여지지도 않은 흙바닥에 소달구지 타고 오다니던 사람들과 비행기 타고 해외여행 가는 게 익숙한 사람들 간의 문화적 간극은 이루 말할 수 없이 크다. '가족'에 대한 관점 역시 그렇다. (1)시부모 봉양과 제사를 당연시 하는 세대가 있고, (2)남성과 여성이 같이 사회적 진출을 해 경제활동에 참여했음에도 여성의 가사노동 부담이.. 2022. 1. 26.
미세먼지 대응책은 경유세 인상?! : 기획재정부가 직면한 갈등 [國稅칼럼] 미세먼지 저감대책과 경유세 인상 문제 - 日刊 NTN(일간NTN) 1. 미세먼지 발생원인과 대책1) 미세먼지 발생원인최근 서울 등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고농도 미세먼지가 사상 최악으로 치닫자 마스크 없이 살수 없는 세상이 되었다. 미 항공우주국(NASA) 위성 www.intn.co.kr 기재부의 딜레마 코로나 사태 이전 몇 년간 봄이 시작될 즈음이면 연일 미세먼지에 대한 기사들이 쏟아졌다. 미세먼지 농도부터 시작해서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대책은 무엇인지 갑론을박이 벌어진다. 네티즌들 사이에서도 미세먼지는 굉장한 이슈이다. 하지만 특단의 대책이 나오지 않고 있다. 기획재정부는(이하 기재부) 딜레마적 상황에서 선뜻 방침을 밝히지 못하고 몇 년동안 경유세 인상 카드만 만지작거리고있다. 기재부가 .. 2021. 12. 29.
사랑의 심리학, 결혼의 경제학 2 결혼은, 미친 짓이다!?커뮤니티에서 화제가 된 소위 '설거지론'의 골자는 '결혼은 미친 짓이다'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런 이야기를 설파하고 다니는 사람들에게 왜 그렇냐고 물으면 어떤 대답을 할까. 아마도 자유연애-프리섹스 시대 도래로 인한 여성들의 성 개방성 증가, 불합리한 결혼 및 이혼제도 등등 가지각색의 답변이 나올 것이다. 여하튼 2021년 한국에서의 결혼은 미친 짓이라고 하는 설거지론자들의 이유를 종합해보면, '현재 2030 여성들의 결혼 전후 행동양식이 확연하게 다른 것에 덧붙여 관계에 대한 믿음을 가지기 어렵다'는 것이다. 현대 한국사회의 연애-결혼-가족이라는 문화를 이해하려면 역사와 경제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기술의 발달, 경제의 발전, 여성의 노동인간사회는 축적을 통해 발전해왔다. 생산을.. 2021. 10.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