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객장37

1. 머지포인트 환불 사태 - 수익구조의 함정 1. 머지포인트 환불 사태 - 수익구조의 함정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를 뜨겁게 달군 사건이 발생했다. 머지포인트 폰지사기 논란이다. 이에 머니포인트를 구매했던 소비자들이 환불을 요구하며 온라인과 오프라인 할 것 없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빠른 속도로 시장 침투율을 높이고 있던 머지포인트는 갑작스럽게 폰지사기 논란에 휩싸였다. 이커머스 업체들을 통해 높은 할인율로 바우처를 제공하던 머지포인트는 소비자들의 입소문을 타며 빠르게 성장했다. 론칭 초기 몇 안 되는 제휴사로 인해 사용처가 제한적이었으나, 빠르게 제휴사들을 늘려가며 2020년 3월 제휴 매장은 약 2만 개를 넘어서는 위력을 보여주며 기업의 상승세에 불을 지폈다. 제휴 매장이 늘어감에 따라 핫딜 금액 또한 점차 커지며 소문은 더욱 빠르게 퍼져나갔고, 연.. 2021. 8. 19.
2. 머지사태 숨겨진 내막 - 예견된 참사? 2. 머지사태 숨겨진 내막 - 예견된 참사? 이전글 보기 2021.08.19 - [경제 이야기(Economic story)/News] - 1. 머지포인트 환불 사태 - 수익구조의 함정 수익구조의 결함 뿐만 아니라 사업구조 또한 수상한 점이 많다. 머지포인트의 본의도는 포인트와 쿠폰 등을 통합관리 해주는 플랫폼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이를 실행하는 과정에 있어 현재의 상품들은 프로모션의 성격을 가지고 고객 유치를 위한 투자라는 것이 업체의 설명이다. 이에 발생하는 손실들은 일종의 CAPEX(자본적 지출)이며, 쿠팡이나 마켓컬리와 같은 기업 또한 수년간 적자를 기록하며 성장했다는 이야기로 잡음을 막기도 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보기엔 장기적인 상품들을 지속적으로 늘려가고 있는 것으로 보았을 때 앞뒤가 맞지 않는.. 2021. 8. 18.
2021.08.09 (월) 금일 시황 - 고용 or 물가, 딜레마속 행방은? 개인의 매수세, 기관이 큰폭으로 매도세를 보였으며 외국인은 소폭 매도했으나 비교적 완만한 움직임을 보였다. 단, 저번주 대부분을 (월요일 제외 4거래일 연속) 매수했던 외국인의 스탠스가 돌아선 것은 6일날 발표된 고용서프라이즈 영향을 준것으로 보인다. 미 시장전까지 시장 관망 포지션을 취한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선물 동향에선 매도 포지션을 강하게 잡으며 긍정 > 부정으로 스탠스가 전환되는 것이 아닌지 의심된다. 떨어지지 않는 환율도 포지션변동에 일정부분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한 주간 약보합 시장이 연출될 가능성이 커보이나, 11일 발표될 CPI지수가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가 핵심이다. 고용안정에 의한 조기 테이퍼링이냐, 인플레이션 압박에의한 테이퍼링 연기일 것이냐로 중단기적인 증시의 방향이 결.. 2021. 8. 9.
반응형